Item request has been placed! ×
Item request cannot be made. ×
loading  Processing Request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 비교 -건강가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the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of High School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Healthy Family-

Item request has been placed! ×
Item request cannot be made. ×
loading   Processing Request
  • معلومة اضافية
    • Contributors:
      진미정 교수님; Kang, Nam Joo;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 بيانات النشر:
      서울대학교 대학원
    • الموضوع:
      2016
    • Coll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 الموضوع:
      640
    • نبذة مختصرة :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2016. 2. 진미정.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건강한 결혼과 가족에 관한 가치관 형성을 위해 가정과 교육내용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되는 가족 관련 내용을 건강가정 관점의 구성요소(조희금 외, 2014)를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여 질적인 해석방법을 사용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고등학교 2009 개정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9종과 2009 개정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가정 과학 교과서 2종, 그리고 10~12학년을 교육대상으로 설정한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 5종을 입수하여 교육내용의 구성과 내용요소, 서술내용, 사진ㆍ삽화 자료, 활동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에 시사점을 주고 있는 사항들을 논의해 보고, 교과 내용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제안점을 제시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의 요약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ㆍ미 가정과 교육의 가족 관련 내용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은 임신과 출산에 관한 지식과 태아부터 아동기까지의 발달과정 및 돌보기 방법의 소개에 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고,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십대 임신과 부모됨, 성병(STIs), 가정 문제, 가족 변화에 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며, 일과 가정의 조화에 관한 내용을 별도로 구성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둘째, 한ㆍ미 가정과 교육의 가족 관련 내용의 내용요소를 키워드와 색인의 검출방법으로서 파악해 보았다. 한국 가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가족 관련 내용에서 6종 이상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내용요소에는, 양성평등, 건강가정, 임신, 태반, 탯줄, 태교, 산후 조리, 피임 방법, 신생아기 황달, 이유식, 옹알이, 물활론적 사고 등이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는 3종 이상의 공통 내용요소로서, 십대 임신, 십대 부모됨, 성병(STIs), 위탁 가정, 계부모, 입양 가족, 학대, 중독, 폭력, 사망, 실직, 이혼, 파산, 자연 재해, 아동 유기, 미숙아, 일과 가정의 조화와 같은 내용요소들이 검출되었다. 셋째, 한ㆍ미 가정과 교육의 가족 관련 내용에서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 대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서술 내용은,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과 배우자 선택의 여과망, 바람직한 결혼식 문화 실천, 양성평등한 부부와 가족, 세대 간의 조화, 건강가정 요소, 임신과 출산, 피임 방법에 관한 지식, 태아부터 아동기까지의 발달과 돌보기 방법 등을 다루는 서술이 특징적이었고, 미국의 경우는, 데이팅의 유형 소개와 십대 임신의 경제적, 정신적, 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경고, 십대 산모의 태아에 관한 질병 경고, 성병(STIs)의 치명성과 증상, 이에 관한 치료와 처리 방법에 대한 서술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 유형과 가정 문제, 가족 변화에 따른 대처 방법,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의 내용에서 유연 근무제, 재택 근무자에 관한 설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양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내용요소, 서술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는 특별히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 합리적인 자원관리,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의 요소를 만족시켜 주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고,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는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가정의 경제적 안정, 안정적인 의식주 생활, 열린 대화,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 합리적인 자원관리, 가족 역할 공유, 건강한 시민의식, 일과 가정의 조화와 같은 요소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넷째, 한ㆍ미 가정과 교육의 가족 관련 내용의 대표적인 사진ㆍ삽화에는,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배우자 선택의 여과망에 관한 삽화, 양성평등한 부부와 가족의 모습, 세대 간의 단란, 교과서 한 부분에 할당된 작은 다문화 가족 사진, 피임방법과 특징에 관한 사진, 임신의 성립과 태아발달에 관한 삽화들이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정보제시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었고, 양성평등과 역할 분담, 세대 간의 조화와 같은 계몽적인 분위기를 잘 ...
    • File Description:
      application/pdf; 1197743 bytes
    • Relation:
      000000132645; https://hdl.handle.net/10371/127253
    • الدخول الالكتروني :
      https://hdl.handle.net/10371/127253
    • الرقم المعرف:
      edsbas.496492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