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request has been placed! ×
Item request cannot be made. ×
loading  Processing Request

여성의 억압양상과 일탈의 가능성 ; Des formes de loppression féminine et lémancipation de la femme : Une étude sur Thérèse Raquin dEmile Zola ; 에밀 졸라의 『테레즈 라캥』

Item request has been placed! ×
Item request cannot be made. ×
loading   Processing Request
  • المؤلفون: 박수진
  • نوع التسجيلة:
    doctoral or postdoctoral thesis
  • اللغة:
    Korean
  • معلومة اضافية
    • Contributors:
      정예영;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 بيانات النشر:
      서울대학교 대학원
    • الموضوع:
      2020
    • Coll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 الموضوع:
      840
    • نبذة مختصرة :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2020. 2. 정예영. ; 본 논문은 에밀 졸라의 『테레즈 라캥Thérèse Raquin』에 나타나는 여성 억압 양상을 확인하고, 보다 입체적인 관점에서 테레즈를 분석하며 여성 인물의 일탈 시도의 가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졸라는 테레즈와 로랑, 두 인물에게 동물적인 기질을 부여하여 이들이 특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본질적으로 구현되는 결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려 하였다. 이때 졸라는 남성 인물(로랑)의 게으른 천성을 그가 부르주아의 경제적 여유로움을 추구하는 농부 출신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반면, 여성 인물(테레즈)이 알제리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딸이라는 점을 들어 그녀의 야성적인 기질을 입증한다. 이런 식으로 작품의 여러 곳에서 여성 인물과 관련한 묘사나 인물의 역할이 이미 사회 기저에 깔려있던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테레즈와 로랑이 동일한 범죄 현장에 있었다고 해도, 테레즈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녀의 부도덕함은 사회적인 차원에서 로랑의 것과 그 의미가 구분된다. 이는 남성 중심 사회를 살아가는 남성 작가의 시선은 작중 인물들에 대해 이미 차별을 함축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1장은 전반적으로 여성 인물들에 대한 남성 인물 혹은 남성 사회의 억압의 형태가 어떤 식으로 작품에서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이는 오히려 두 인물에게 설정된 기질대로 힘센 남성과 채워지지 않는 욕구를 가진 여성의 이미지를 보여주고자 하지만 우리는 그 이면에서 오히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 사회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테레즈와 로랑, 카미유 세 사람의 결혼 관계 속에서 남성의 소유욕을, 시선의 주제와 관련하여 주체나 대상으로서의 여성적 시선의 한계를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 작품의 두 여성 인물인 테레즈와 라캥 부인에 집중한다. 특히 테레즈 라캥이라는 이름의 가게와 가정집이 분리가 되지 않은 하나의 공간에서 두 인물의 역할과 여성 인물 사이의 관계에 주력한다. 특히 두 인물의 여성성은 사방이 막힌 특정한 내부 공간 속에서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작품에 전반적으로 깔린 테레즈의 창녀와 같은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유일하게 집 안에서는 주체성을 잃어버린 채 무기력하고 수동적인 여성으로 등장한다. 그 곳에서는 테레즈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남성적 어머니로서의 라캥 부인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방이 막힌 내부의 공간에서 여성을 억압하는 인물이 바로 여성임을 확인하는 과정은 남성 중심 사고가 여성 인물들에게 침투하여 내재화 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침내 3장에서는 여성 억압의 구조에 대한 일탈의 시도로 볼 수 있는 테레즈의 욕망을 살펴본다. 이때 일탈적 의미를 갖는 테레즈의 행동은 초기에는 단순히 거짓말을 하며 살아온 자신의 삶을 고백하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라캥 부인의 명령에 대해 점차 적극적으로 반항하며 이를 교묘히 거부하기까지 하는 모습으로 확대된다. 이는 거짓말을 넘어 연기를 통해 이러한 모습 이면에 감춘 자신만의 욕망을 지키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결국 테레즈는 광기에 빠짐으로써 언어와 질서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 진입한다. 마침내, 자기 파괴의 끝으로 볼 수 있는 유산과 자살은 테레즈의 적극적인 몸부림으로써 남성 담론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여성 인물의 숭고한 의지를 대변한다. 이 연구는 그동안 부정적인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지 못했던 테레즈에 대한 기존 연구의 논점에서 벗어나 이 작품의 여성 인물을 차별적으로 성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ette étude vise à identifier l'oppression féminine dans Thérèse Raquin d'Emile Zola, en se concentrant sur lanalyse du personnage de Thérèse dans une perspective plus variée, et propose une interprétation de la trajectoire de Thérèse comme processus démancipation. Zola ...
    • ISBN:
      978-0-00-000000-2
      0-00-000000-0
    • Relation:
      00000015997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975; I804:11032-000000159975; 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59975▲
    • الدخول الالكتروني :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975
    • الرقم المعرف:
      edsbas.9AD46774